본문 바로가기
노무서비스

언제 퇴사하느냐에 따라 주휴수당 발생 여부가 달라집니다.

by 해솔파트너스 2025. 5. 9.

주휴수당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을 개근했을 경우, 유급으로 쉴 수 있는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인데, 퇴사 시점에 따라 주휴수당 지급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:


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 (기본 요건)

  1.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
  2. 소정근로일을 개근
  3. 근로계약 상 1주 1일 이상 유급휴일이 있는 경우

🗓 퇴사일에 따른 주휴수당 발생 여부

퇴사 시점주휴수당 발생 여부설명
주 초반 퇴사 (예: 월~수) ❌ 없음 주간 소정근로일을 모두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음
주말 퇴사 (예: 금요일 퇴사) ✅ 있음 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했기 때문에 주휴수당 발생
주휴일 전에 퇴사 (예: 주휴일이 일요일인데 토요일 퇴사) ✅ 있음 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했다면 주휴일이 도래하지 않아도 주휴수당은 발생
주휴일에 퇴사 (예: 일요일 퇴사) ✅ 있음 주휴일에도 재직 중이므로 당연히 주휴수당 발생
 

예시

  • 근무요일: 월~금, 주휴일: 일요일
  • 근로자가 금요일까지 성실히 근무하고 퇴사했다면,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.
  • 반면, 수요일 퇴사라면, 그 주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지 않았으므로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.